스프링클러 배관의 재료, 구경, 배치 기준부터 설계·시공·감리 체크포인트까지!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기술기준을 정리했습니다.
왜 스프링클러 배관이 중요한가?
스프링클러 설비는 화재 초기에 자동으로 작동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핵심 소방시설입니다. 특히 스프링클러 배관은 물의 공급 성능과 직결되기 때문에, 설계에서 감리까지 정밀한 기준 준수와 검토가 필수입니다.
본 글에서는 관련 법령 및 기술기준을 바탕으로 배관 재료·구경·시공·감리 기준을 정리하여 실무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1. 배관 재료 기준 및 종류
배관 재질 | 사용 구간 | 주의사항 |
---|---|---|
아연도강관 (SC) | 공통 | 가열식 압축이음 불가, 내식도 고려 |
동관 | 노출구간 및 위생 필요 구간 | 이종금속 부식 방지 필요 |
스테인리스강관 | 부식 우려 환경 | SUS304 이상, 벽두께 기준 준수 |
CPVC | 비노출 천장 속 | KS 인증 제품만 사용 |
💡 Tip: 부식이 우려되는 지하 주차장에는 아연도강관보다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라이닝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배관 구경 및 유속 기준
- 종단유속: 6.1m/s 이하
- 수직낙하배관 유속: 10m/s 이하
- 종단압력 손실: 1.2kgf/㎠ 이하
루프, 리절버 설계 방식은 반드시 유량계산에 따른 최소 구경 확보가 필요합니다.
3. 시공 시 주요 체크포인트
- 수평배관은 1/300~1/100 기울기 유지
- 나사 이음은 균일한 조임 각도로 시공
배관 외경(mm) | 수평지지대 간격 | 수직지지대 간격 |
---|---|---|
≤ 32A | 2.0m | 3.0m |
40A ~ 80A | 2.5m | 3.5m |
≥ 100A | 3.0m | 4.0m |
4. 감리 및 검사 체크리스트
- ✅ 도면과 실배관 경로 일치 여부
- ✅ 유량 및 유속 계산서 제출 여부
- ✅ 성능인증 자재 사용 확인
- ✅ 접착식 배관은 건조시간 준수 (24시간 이상)
- ✅ 수압시험 1.5MPa 이상 10분간 유지 확인
📌 관련 규정: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 제4조에서는 감리자는 착공 전 상세 검토보고서를 확인해야 함
스프링클러 설비의 배관은 단순한 "물길"이 아니라 설비 성능 전체를 좌우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기준을 이해하고 실무에 정확히 적용하는 것이 곧 화재 안전의 시작입니다.
참고 법령 및 기술기준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9조, 제37조
- NFSC 103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 NFTC 103 스프링클러설비 기술기준
- NFPC 101 화재안전성능기준
-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 제2조, 제4조
'소방공사 실무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에서의 ‘아이솔레이트 기능’이란? (0) | 2025.05.20 |
---|---|
스프링클러 배관 구경 및 시공기준 완전정리 (NFTC 103 기준 기반) (0) | 2025.05.15 |
라지드롭 스프링클러 vs 표준형, 설치기준 완벽 비교 (0) | 2025.05.14 |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기준 총정리 (NFTC/NFPC 완벽 해설 (0) | 2025.05.14 |
소방시설공사업 등록기준 및 절차 완벽정리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