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마트홈 확산과 함께 전자도어락의 설치가 증가하면서, 방화문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도어락 제품의 화재안전 인증KFI 형식승인을 받을 수 있는지를 자세히 안내합니다.
📌 형식승인이 필요한 경우는?
전자도어락이 단독으로 판매될 경우 일반 전기제품으로 KC 인증 대상입니다. 그러나 방화문에 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KFI 형식승인 대상이 됩니다. 형식승인 대상인지 여부는 아래 조건에 따라 판단합니다:
- 도어락이 방화문의 내화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 방화문과 도어락이 일체형으로 조립·출고되는 경우
- 도어락의 이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일 경우
🧪 형식승인 시험항목 요약
시험항목 | 시험내용 | 관련 기준 |
---|---|---|
1. 내화시험 | 화염(1100℃)에 30~90분간 노출 시 문체와 도어락 유지 여부 | KS F 2257-1, KS F 2268-1 |
2. 차연시험 | 연기 차단 성능 시험 (틈새 누기량 측정) | UL 1784, KS F ISO 5925-1 |
3. 기계적 강도 | 도어락 작동 중 반복 개폐 및 충격 저항성 | KFI 내부 기준 |
4. 비상개방기능 | 정전/화재 시에도 수동으로 개방 가능 여부 | 소방청 고시 |
5. 구조 일체성 | 도어락과 문체가 분리되지 않고, 내열 파손이 없을 것 | KFI 기술심의 |
📝 형식승인 절차
- 1. 신청: KFI 형식승인 신청 (www.kfi.or.kr)
- 2. 서류 제출: 제품설명서, 구조도면, 내화설계도, 회로도
- 3. 시험체 제작: 실제품 상태 그대로 조립
- 4. 성능시험: 내화/차연/기계/비상기능 등 시행
- 5. 형식승인서 발급: 시험통과 시 인증번호 부여
💡 참고: 시험체에는 도어락, 도어프레임, 손잡이, 힌지, 잠금장치 등 전체 구성품 포함.
⚠️ 불합격 주요 사례
- 도어락 플라스틱 커버가 20분 이내 용융 → 불합격
- 정전 시 기계식 개방 불가 → 피난성능 미흡
- 방화문 내부 배선을 임의로 가공 → 구조 훼손
🔥 도어락은 기능보다 구조안전성과 피난성 확보가 핵심입니다.
전자도어락 설치, 감리자가 꼭 확인해야 할 10가지 검수 항목
전자도어락의 설치는 편의성과 보안을 향상시키지만, 화재 안전 측면에서는 감리자의 세심한 확인이 요구됩니다. 특히, 방화문 일체형 전자도어락의 경우 형식승인 및 연동성, 화재 시 작동 특성 등 다양한 법적·기술적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형식승인 여부 및 인증서 확인
- 도어락이 국립소방연구원 또는 지정시험기관의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
- ‘방화문 일체형 전자도어락’일 경우 별도의 성능시험 기준(NFPC) 충족 필수
- 형식승인 번호 및 제품 명칭 일치 여부 검토
✅ 2. 방화문 일체형 구조 여부
- 도어락이 방화문에 일체형으로 내장된 구조인지, 별도 설치인지 확인
- 비일체형 도어락은 방화문 성능 저하 가능성으로 불인정될 수 있음
✅ 3. 내화성능 시험보고서 확인
- KS F 2845 (갑종방화문 성능시험 기준) 또는 KS F 3109 (도어하드웨어) 등 관련 내화시험 성적서 확보 여부
- 30분 또는 60분 내화 성능 통과 기록 필수
✅ 4. 화재 시 작동 특성 (Fail-Safe 기능)
- 정전 시 도어락이 자동 해제(Fail-Safe) 또는 자동 잠금(Fail-Secure) 중 사용 목적에 맞는 방식인지 확인
- 비상 시 출입문 자동 개방 여부 확인
✅ 5. 전원공급장치 및 예비전원 확인
- AC/DC 어댑터 또는 건전지형 도어락의 예비전원 확보 여부
- 정전 후 최소 60분 이상 사용 가능한 배터리 백업 구조인지 확인
✅ 6. 출입통제시스템과 연동여부
- 전자도어락이 출입통제시스템, 화재경보설비, 피난유도등 등과 연동 작동 가능한지 여부
- 화재경보 시 자동 해제 여부 또는 강제 개방 장치 유무
✅ 7. 설치 위치 및 경첩 방향
- 문 개폐 방향(내·외측)과 전자도어락 설치 위치가 도면 및 설계와 일치하는지 확인
- 경첩 반대편 설치로 인한 도어락 작동 이상 방지
✅ 8. 연기 및 열에 대한 감응성
- 감지기 또는 열감지부와의 간섭 여부
- 고온 또는 연기에 대한 **내열성 재료 사용 여부** 확인
✅ 9. 감리 기록 및 사진 첨부
- 검수 시점의 사진 촬영 및 설치 위치 기록
- 형식승인 번호, 시리얼 넘버, 인증 마크 등 확인 가능한 정보 문서화
✅ 10. 제조사 매뉴얼 및 사용설명서 검토
- 제품에 포함된 사용설명서, 점검 매뉴얼, 유지관리 지침서 보관 여부
- 시공자 및 유지관리자가 이해할 수 있는 한글 매뉴얼 필수
📌 마무리 체크리스트 (감리자용)
검사항목 | 확인여부 | 비고 |
---|---|---|
형식승인 및 시험성적서 | ☐ | |
방화문 일체형 여부 | ☐ | |
내화시험 성능확인 | ☐ | |
화재 시 작동 방식 | ☐ | |
전원 및 예비전원 | ☐ | |
출입통제 시스템 연동 | ☐ | |
설치 방향 및 위치 | ☐ | |
내열성 및 연기 내성 | ☐ | |
사진 및 문서 기록 | ☐ | |
사용 설명서 검토 | ☐ |
전자도어락이 단순 보안기기를 넘어 화재 시 인명피난과 직결되는 요소가 되면서, 방화성능에 대한 명확한 인증 기준이 요구됩니다. 특히 방화문과 일체형 제품의 경우, 구조설계와 도어락 자체의 내열·비상기능까지 포함한 종합 시험이 필수입니다.
설계자와 감리자는 반드시 형식승인 인증번호를 확인하고, 정전 또는 고온 환경에서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 제품만을 채택해야 합니다.
📎 관련 자료
📎 관련 규정 및 참고 기준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 소방시설의 정의 및 성능 기준
- 「NFPC 10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성능기준
- 성능위주설계 운영 가이드라인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동소화장치 성능인증 완전정복 – NFTC와 NFPC 기준으로 읽는 제품검사 실무 (0) | 2025.04.27 |
---|---|
📑 소방시설 성능시험 보고서 작성법 – 스프링클러, 감지기, 경보설비 실방수까지 완전 해설 (1) | 2025.04.26 |
🧾 소방시설 자재 검수 실무 완전 해설 – 형식승인부터 성능인증, 입고검사까지 한 번에 정리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