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화전선이 중요한 이유는?
화재 시 소방시설은 전력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일반 전선은 고온에 노출되면 절연 파괴, 전류 차단, 설비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어, 소방시설이 무용지물이 되기 쉽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 전선에 고온 환경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화 성능을 요구하며, 이를 ‘내화전선(Fire-resistant cable)’이라 부릅니다.
📌 한 줄 요약: 화재 시 작동해야 할 소방설비에는 반드시 내화전선 사용!
2. 내화전선의 기준과 적용 범위
2-1. 내화전선의 정의
항목 내용
정의 | 화재 발생 시 일정 시간(예: 60분 또는 90분) 이상 기능 유지가 가능한 전선 |
시험기준 | KS C IEC 60331 또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인증 기준 |
구분 | 내열전선(heat-resistant)과는 다름 – 내화전선은 기능 유지가 핵심 |
🔍 NFSC 정의: “내화전선이란 화염 속에서도 신호 또는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춘 전선으로, 정해진 시험을 통과한 제품”
2-2. 내화전선 적용 대상 (NFSC 및 시행령 기준)
소방설비 적용 조건
자동화재탐지설비 | 수신기 |
비상방송설비 | 화재 시 안내방송 지속이 중요 → 전 구간 내화전선 사용 |
제연설비 | 전동댐퍼 제어회로, 팬 전원회로 모두 내화전선 적용 대상 |
비상콘센트설비 | 주전원 |
유도등 | 제어반~기기 간 정전보상용 배선은 내화 기준 요구되는 경우 있음 |
📌 법령 근거: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 및 화재안전기준(NFSC 501, 603 등)
2-3. 내화전선 성능기준 (NFPC 연계)
항목 기준 내용
내화 성능 유지 시간 | 60분 이상 (KFI 기준) / 건축물 용도 따라 90분 이상 요구 가능 |
시험온도 | 750~950℃ 조건에서 전기적 기능 유지 여부 시험 |
연기, 독성 | 저연/저독 기준 충족 필요 (Halogen-free 요구 사례 많음) |
외피 구조 | 내화 피복, 차단층, 차폐층 포함한 다층 구조 필수 |
2-4. 시공 시 유의사항
✅ 배관/트레이 방식
- 금속전선관(EMT) 또는 내화 덕트에 배선
- 케이블 트레이 설치 시 불연재 마감 및 차단구역 확보 필수
✅ 관통부 처리
- 슬리브 및 방화구획 관통 시 내화충전재, 내화패드 필수 적용
- 건축방화구획 도면과 일치 여부 감리 체크포인트
✅ 접속 방식
- 내화전선과 일반전선 접속 금지!
- 필수 시 내화커넥터 또는 내화단자함 사용
🛠 감리자 팁: 공사 완료 후 내화전선 “제품명, 인증번호, 배선경로” 기록하여 유지관리 인계서에 포함할 것
3. 내화전선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화재 초기 골든타임 확보는 소방설비의 작동 여부에 달려 있고, 그것은 내화전선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단순한 규정 준수가 아니라,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보이지 않는 안전망’인 것이죠.
✅ 실무자 체크리스트
항목 확인 여부
적용 대상 설비의 내화전선 요구 여부 확인 | [ ] |
내화전선 성능인증(KS 또는 KFI) 여부 확인 | [ ] |
배관 방식 및 마감 구조 확인 | [ ] |
설계도면과 실제 배선 경로 일치 여부 감리 | [ ] |
일반전선과의 접속 방지 및 단자함 사용 | [ ] |
내화전선은 화재 시에도 일정 시간 동안 전기적 기능을 유지하여 소방설비의 작동을 보장하는 핵심 자재입니다. 이러한 내화전선은 한국산업표준(KS) 인증을 통해 그 품질과 성능을 검증받습니다. 아래는 내화전선과 관련된 주요 KS 인증 표준 목록입니다: (KS고시 - 국가표준 상세 | e나라 표준인증)
🔹 내화전선 관련 주요 KS 인증 표준 목록
1. KS C IEC 60331 시리즈 – 내화 성능 시험 기준
- KS C IEC 60331-11: 화재 조건에서의 전기 케이블 시험 – 회로 보전성 – 단일 전선
- KS C IEC 60331-21: 화재 조건에서의 전기 케이블 시험 – 회로 보전성 – 다심 전선
- KS C IEC 60331-23: 화재 조건에서의 전기 케이블 시험 – 회로 보전성 – 광섬유 케이블
- KS C IEC 60331-25: 화재 조건에서의 전기 케이블 시험 – 회로 보전성 – 광섬유 케이블 (소방용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 국가법령정보센터, KS고시 - e-나라표준인증, KS고시 - 국가표준 상세 | e나라 표준인증)
이 시리즈는 내화전선의 성능을 평가하는 시험 방법을 규정하며, 화재 시 전선이 전기적 회로를 유지하는 능력을 검증합니다.
2. KS C IEC 60332 시리즈 – 난연성 시험 기준
- KS C IEC 60332-1: 전기 케이블의 난연성 시험 – 단일 절연 전선 또는 케이블의 수직 배치 시험
- KS C IEC 60332-3-24: 전기 케이블의 난연성 시험 – 수직 배치된 다심 케이블의 화재 확산 시험 (KS고시 - e-나라표준인증)
이 표준들은 케이블의 난연 특성을 평가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단체표준 예고현황 - e-나라표준인증)
3. KS C 3341 –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이 표준은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에 대한 규격을 정의합니다. 화재 시 발생하는 유독 가스를 최소화하여 인명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KS인증 - 서울전선(주)-)
4. KS C IEC 60502 시리즈 – 정격 전압 1~30kV 압출 절연 전력 케이블
- KS C IEC 60502-1: 정격 전압 1kV 및 3kV 케이블
- KS C IEC 60502-2: 정격 전압 6kV 및 30kV 케이블 (인증서 - 가온전선, KS고시 - e-나라표준인증)
이 표준들은 고전압 내화전선의 구조 및 성능 기준을 규정하여 고층 건물이나 산업 시설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5. SPS-KWS 409-0680 – 0.6/1kV 소방용 전선
한국전선공업협동조합에서 제정한 단체표준으로, 소방용 내화 배선, 화재경보기, 스프링클러 계통, 비상등 회로의 전원 공급용 케이블에 대한 규격을 정의합니다. 도체 위에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을 하고, 난연성 PVC 또는 무할로겐 난연 폴리올레핀으로 시스한 구조를 갖습니다. (단체표준 예고현황 - e-나라표준인증)
🔸 주요 내화전선 제조업체의 KS 인증 보유 현황
다음은 국내 주요 내화전선 제조업체와 그들의 KS 인증 보유 현황입니다: (KS인증 - 서울전선(주)-)
- 서울전선(주):
- KS C 3313: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OW)
- KS C 3341: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KS인증 - 서울전선(주)-)
- 대신전선(주):
- KS C IEC 60502-2: 6/10kV CV 전력 케이블
- KS C IEC 60227-3: 정격 전압 450/750V 이하 염화 비닐 절연 케이블 (KS인증품목 - 대신전선(주), KS고시 - 국가표준 상세 | e나라 표준인증)
- 가온전선:
- KS C 3603: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시내 쌍 케이블
- KS C 3899: 정격 전압 6/10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인증서 - 가온전선)
✅ 실무 적용 시 유의사항
- 설계자 및 감리자는 해당 프로젝트에 적용되는 내화전선이 적절한 KS 인증을 보유하고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시공자는 내화전선의 인증 번호 및 제품 사양을 확인하여 설계 도서와 일치하는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 감리 단계에서는 내화전선의 인증서 사본을 확보하고, 시공 현장에서의 적정 설치 여부를 검토해야 합니다.
내화전선의 KS 인증 목록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려면 국가기술표준원 e-나라표준인증 웹사이트(https://standard.go.kr)에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단체표준 예고현황 - e-나라표준인증)
필요하시면 특정 제조사의 내화전선 제품 카탈로그나 인증서 사본을 제공해 드릴 수 있습니다.
'소방공사 실무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시설공사업 등록기준 및 절차 완벽정리 (0) | 2025.05.08 |
---|---|
스프링클러 헤드 감열개방 원리와 종류 (0) | 2025.04.30 |
🏃 옥상출입문 자동개방장치 실무 해설 – 제연설비 연동 설치 기준까지 완전 정리 (0) | 2025.04.25 |
💧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실무 해설 – 구성부터 설치기준, 감리 포인트까지 완전정복 (0) | 2025.04.25 |
🚨 옥내소화전 설비 실무 완전 해설 – 구성부터 방수시험, 감리 포인트까지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