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소방전기 트레이 완전정복: 설치 기준부터 실무 팁까지
sofire
2025. 4. 20. 13:49
1. 왜 소방전기 트레이가 중요한가?
소방전기 트레이는 감지기, 수신기, 발신기, 경보장치 등 소방전기설비의 배선이 통과하는 전용 덕트 또는 지지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최근 고도화되는 소방시스템에 따라 배선의 안정성과 유지보수 편의성 확보가 더욱 중요해졌고, 이에 따라 트레이의 설치기준과 성능요건에 대한 이해는 실무자에게 필수입니다.
🔧 2.1. 정의 및 관련 법령
📌 관련 법령 정리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항제1호: 소방시설의 정의
- 「소방시설공사업법」 및 같은 법 시행령・시행규칙: 공사 시 기술기준 준수 의무
-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및 「NFPC 성능기준」: 전선·배관 설치에 대한 상세 기준
▶ 소방전기 트레이란?
“소방전기 배선을 지지하고 보호하는 구조물로,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형태를 취하며, 금속재 또는 난연성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됨.”
🧱 2.2. 설치 기준 요약 (NFTC 기준 중심)
항목 내용
재질 | 금속 또는 난연성 재료 사용 필수 |
내화 기준 | 1시간 이상 내화성능 확보 권장 (특히 피난·방화구역 등) |
전선 분리 | 소방용 전선과 비소방용 전선은 분리 트레이 사용 또는 격벽 설치 |
고정 간격 | 수평 1.5m 이하 / 수직 2m 이하 고정 |
지지대 간격 | 일반적으로 1~1.5m, 과부하 발생 구간은 보강 필요 |
곡선 및 분기부 | 전선 굽힘 반경(R)은 최소 전선 지름의 6배 이상 |
도체 보호 | 트레이 내부 날카로운 부분 제거, 도통성 유지 필요 |
접지 | 금속 트레이는 반드시 접지 또는 접지선 연결 필요 |
⚠️ 2.3. 시공 시 주의사항
① 화재 안전 확보
- 특정소방대상물 내 피난 경로 또는 전력구역에 설치되는 트레이는 내화피복 또는 내화덕트 처리 권장
- 내열전선 사용과 더불어 트레이 자체의 내화성능도 확보 필요 (NFPC 인증품 사용 권장)
② 감리 체크리스트
- 트레이 내 전선 용량 초과 여부
- 트레이 고정 지점의 이탈/파손
- 금속 트레이의 접지 누락
- 트레이의 지지 간격 부적정
- 피복 손상, 압착 흔적 등 손상 여부
③ 시공 실수 사례
- ⛔ 에어컨 배관 트레이와 소방배선 트레이 혼용
- ⛔ 소방전선과 통신·전력선 병렬 배치
- ⛔ 비내화구역에 PVC 트레이 무단 사용
- ⛔ 경량철골천장 상부 고정 누락
📐 2.4. 설계 TIP
구분 설계 포인트
트레이 종류 선택 | 중량 고려하여 사다리형, 펀칭형, 사각형 중 선택 |
재료 지정 | KS 인증 품목 사용 명시 (아연도금, 스테인리스 등) |
배선 계획 | 각 구간에 따른 전선 수용률과 열축적 가능성 고려 |
배선 체계 | 수신기 → 분기함 → 감지기 라인의 트레이 루트 명확화 |
3. 소방전기 트레이, ‘보이지 않는 안전의 뼈대’
소방전기 트레이는 단순한 배선 구조물이 아닙니다. 화재 발생 시 전원·통신의 유지와 경보 시스템의 작동을 보장하는 생명선입니다. 실제 감리 현장에서도 트레이 시공의 완성도가 전체 소방공사의 품질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 한눈에 요약
- 법령 확인: 「소방시설공사업법」 + NFTC 기술기준
- 시공 기준: 내화·분리·고정 간격 등 체크
- 실무 체크: 감리 체크리스트 기반 점검
- 설계 전략: 전선 수용률·열적 특성 고려
🔎 참고자료
-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제2조 (기술인력, 자격 기준 등)
-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1)」 자동소화장치 기준
- 「NFPC 성능기준(NFPC 101)」 제4조 설치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