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FPC 102 완전 해설: 옥내소화전설비, 제대로 알고 설치하자!
✅ 옥내소화전설비, 실전에서 생명을 구하는 ‘첫 번째 무기’
건축물의 화재 초기 대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소방시설 중 하나는 바로 옥내소화전설비입니다. 화재 발생 시 소방대가 도착하기 전, 관계인 또는 내부 대피자가 직접 사용해 초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대응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NFPC 102는 이러한 옥내소화전설비에 대한 화재안전성능기준으로, 설치 기준부터 성능 조건, 유지관리까지 구체적으로 규정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FPC 102의 핵심 내용을 쉽게 풀어드리며, 실무자와 감리자, 설계자 모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을 정리해드립니다.
🔍 NFPC 102의 핵심 내용 완전 정복
1. 옥내소화전설비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1에 명시된 소화설비 중 하나로,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사람이 직접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입니다.
구성 요소:
- 소화전함 (호스릴 또는 호스와 노즐 포함)
- 배관 및 제어밸브
- 가압송수장치 (펌프)
- 급수원 (수조 또는 상수도)
2. NFPC 102 설치 기준 요약
📌 [1] 적용 대상
-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2의 특정소방대상물 중 일정 규모 이상인 건축물
- 연면적, 층수, 용도 등에 따라 적용 여부 결정
📌 [2] 방수압 및 방수량
항목 성능기준
최소 방수압 | 0.17 MPa 이상 |
방수량 | 130 L/min 이상 |
방수시간 | 최소 20분 이상 |
방수구 수 | 2구 이상 동시방수 가능하도록 설계 |
💡 현장 팁: 감리 시에는 반드시 유량계와 압력계를 통해 성능시험 실시 후 NFPC 기준 충족 여부 확인!
3. 옥내소화전의 설치 위치 및 배치기준
- 모든 층에 설치
- 수평·수직 보행거리 40m 이내에서 1개 이상 접근 가능해야 함
- 거실 또는 복도 중 피난·방화에 유리한 위치에 설치
- 소화전함 중심 높이는 1.5m 이하
📌 실무자의 주의사항:
- 벽 매입형 설치 시 개구부 주변 장애물 제거 필요
- 주차장 등은 시인성 높은 표지와 조명 확보해야 함
4. 펌프 및 수원의 성능 기준
항목 기준
가압송수장치 | 정격방수압, 방수량 이상 확보 |
비상전원 연동 | 전원 차단 시 자동으로 비상전원 전환 |
급수원 | 상수도 연결 시 급수량 확인, 자체 수조 시 수위감지기 필수 설치 |
🔧 유지관리 팁:
- 매월 펌프 작동 시험 및 누수 점검
- 수동/자동 전환 테스트는 분기 1회 이상 실시
5. 시험 및 점검 기준
NFPC 102는 설치 이후의 성능 유지도 중요시합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지관리 기준이 적용됩니다:
- 성능 시험 주기: 연 1회 이상
- 점검 항목: 방수량, 방수압, 펌프 작동시간, 수위감지기, 배관 누수 여부
- 기록 의무: 점검결과는 3년간 보관
📋 감리자 확인 리스트:
항목 확인 여부
방수압 ≥ 0.17MPa | ✅ / ❌ |
2개소 동시 방수 가능 | ✅ / ❌ |
수원 부족 없음 | ✅ / ❌ |
피난 동선 확보 | ✅ / ❌ |
점검표 기록 여부 | ✅ / ❌ |
🧠 NFPC 102는 생명선, 정밀한 이해와 실천이 중요
NFPC 102는 단순한 기술 기준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제 생명을 구하는 기준입니다. 특히 고층건축물이나 대규모 복합시설에서 옥내소화전의 설치·유지관리 부실은 치명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자는 기준 정확 반영, 감리자는 철저한 성능 확인, 관계인은 정기 유지관리와 훈련을 통해 NFPC 102의 정신을 실현해야 합니다.
📚 참고자료
-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522호, 2024.12.01.]
- 「소방시설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35151호, 2024.12.31.]
- 「화재안전성능기준 NFPC 102」 [소방청고시 제2022-31호, 개정 포함]
- 국립소방연구원 해설서 및 현장적용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