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C 기술기준 시리즈
🚨 NFTC 103 |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수원 산정 방식 포함)
sofire
2025. 4. 18. 07:21
1. 들어가며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는 핵심 설비다. 본 글에서는 NFTC 103 (2022.12.1 시행) 을 기준으로, 수원의 정확한 산정 방식, 설치 기준, 감리・설계 시 유의사항, 완화 및 예외 규정까지 포함한 현장 실무 중심의 해설을 제공한다.
2. 스프링클러설비란?
- 소화설비의 일종으로 폐쇄형(일반 건물)과 개방형(특수시설)으로 구분
- 헤드에 내장된 감열체가 일정 온도 도달 시 파열 → 자동 방수
- 초기 화재 확산을 억제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신뢰도 높은 설비
3. 스프링클러 설비 구성
구성 요소 설명
스프링클러 헤드 | 감열 파괴형 자동노즐 (폐쇄형/개방형) |
유수검지장치 | 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등 회로 별 설치 |
가압송수장치 | 전동펌프+예비펌프(내연기관) 구성 |
제어장치 | 감시제어반, 수동조작함, 압력스위치 등 |
수원 | 수조 또는 상수도 (단, 신뢰도 확보 필요) |
4. 수원의 유효수량 산정 방식 (정정 포함)
✅ 폐쇄형 스프링클러
- 기준시간: 20분
- 유효수량 = 헤드 수 × 분당 방수량 × 20분
- 헤드 수 기준은 스프링클러가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헤드 수
예)
최다 설치층에 헤드 15개, 방수량 80L/min
→ 15 × 80 × 20 = 24,000L = 24㎥
✅ 개방형 스프링클러
- 기준시간: 10분
- 유효수량 = 설계방호구역 헤드 수 × 방수량 × 10분
(30개 이하일 경우 30헤드 기준, 초과 시 수리계산)
5. 설치기준 요약
🧯 헤드 설치
- 표준간격: 3~4m
- 방호면적: 일반 21㎡, 내화천장 37㎡까지 가능
- 헤드 높이: 지면 기준 약 2.3~3.5m 권장
🧭 가압송수장치
- 주펌프: 전동기식
- 예비펌프: 내연기관 또는 비상전원
- 순환배관 및 성능시험배관 설치 의무
- 체절운전 기준 충족 및 자동비상전환 가능해야 함
🧱 배관 및 재질
압력 구간 사용 자재
1.2MPa 미만 | 탄소강관, 구리관, 스테인리스관 |
1.2MPa 이상 | 고압 탄소강관 또는 고압 스테인리스관 |
6. 고층 건축물 적용 특례
30층 이상 또는 120m 초과 건물에 대해 특례 적용:
- 수직 주배관 2계통 이상 설치 의무
- 예비전원 + 절체장치 설치 필수
- 내진설계 적용 대상이며, Sway Brace 설치 필요
- 펌프, 수원, 전원 이중화 강조됨
7. 예외 및 완화 규정
✅ 수원 겸용 허용
- 옥내소화전설비 등과 겸용 가능
- 단, 수조는 양 설비 수요량의 합계 이상이어야 함
✅ 예비펌프 생략
- 급수신뢰도가 매우 높은 지역 또는 상수도 직결 방식의 경우
- 단, 방수압이 0.1MPa 이상 충족해야 함
✅ 기존 건축물 특례
- 구조상 설치 곤란 시 소방서장 승인 하에 기준 일부 생략 가능
- 반드시 성능상 동등 이상의 효과 확보가 조건
✅ 배관 겸용
- 연결송수관설비와 겸용 배관 가능
- 단, 계통 간 간섭 방지 및 수압 손실 고려 설계 필요
8. 실무 체크리스트
체크 항목 점검 기준
수원 산정 | 헤드 수 × 80L × 20분 or 10분 |
펌프 성능 | 체절압, 최대 유량 조건 확인 |
비상전원 | 감시제어반, 펌프 모두 이중화 |
배관 구경 | 헤드 방수량 감당 가능한지 검토 |
완화 적용 | 적용 여부 + 근거 문서 확보 필수 |
9. 결론
NFTC 103은 스프링클러설비의 설계와 시공, 감리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면서도 현실적 한계에 따른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특히 수원의 산정은 폐쇄형 20분, 개방형 10분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층건물이나 복합설비에 대해서는 계통이중화・이중전원・내진보강이 핵심이다.
🎯 다음글 예고
다음 포스팅은 NFTC 104 물분무등소화설비 기준입니다.
고압설비의 구성, 캐비닛형/열감지형 비교, 예외 규정까지 모두 다룰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