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C 기술기준 시리즈

🚨 NFTC102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 기술기준 완전 정리!

sofire 2025. 4. 17. 04:00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 내부에서 가장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옥내소화전설비.
이번 글에서는 최신 NFTC102 기준을 기반으로, 옥내소화전이 어디에, 어떻게, 얼마나 설치되어야 하는지
실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게 정리해드립니다.


📘 NFTC102란?

NFTC102옥내소화전설비의 설치 및 유지에 대한
화재안전기술기준(National Fire Technology Code)입니다.

✅ 주요 목적:
화재 발생 시 건물 내부에서 직접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호스와 방수구가 설치된 설비 기준을 제시


🔧 설치 대상

옥내소화전은 다음과 같은 소방대상물에 설치해야 합니다:

  • 연면적 600㎡ 이상인 특정 소방대상물
  • 지하층이 있거나 11층 이상 건물
  • 고층건축물, 병원, 지하상가, 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

※ 예외사항은 NFTC102 조문에 별도로 명시되어 있음


🏢 설치 기준 요약

항목 설치 기준

설치 위치 건축물 내부 어디서든 40m 이내 접근 가능하도록
방수구 수량 150㎡당 1개 이상, 통로 고려해 설치
호스함 구성 방수구 + 호스 + 노즐 + 개폐밸브 포함
층별 설치 모든 층에 설치, 옥상층 포함
압력 및 유량 기준 1개 사용 시 0.17㎥/min 이상, 0.25MPa 이상
배관재질 배관은 내식성 자재 사용 필수 (도금강관, 스테인리스 등)

🧯 설비 구성 요소

  • 방수구 (Fire Hose Valve)
  • 소방호스 (Fire Hose)
  • 노즐 (Nozzle)
  • 개폐밸브 및 압력계
  • 펌프 및 수조 연결설비 (NFTC126과 연계됨)

🧪 성능 기준 & 점검

항목 내용

토출압력 0.25MPa 이상 유지되어야 함
방수량 1개 사용 시 0.17㎥/min 이상, 2개 동시 사용 기준 존재
펌프시험 정기적인 성능 시험 필수 (연 1회 이상 권장)
유지관리 호스 파손 여부, 밸브 작동상태, 배관 누수 여부 등 주기점검 필요

💡 실무 꿀팁

  • 복도 끝에 설치된 소화전, 방수거리 초과 여부 반드시 체크
  • 고층건물에서는 옥상 수조와의 압력계산 필요 (수두압 고려)
  • 지하층에는 동력가압펌프와 연결된 별도 소화전 고려

📎 요약 정리

항목 기준

거리 기준 소방호스 40m 이내 도달
수량 기준 150㎡당 1개 이상 설치
압력 기준 0.25MPa 이상 확보 필요
주요 대상 연면적 600㎡ 이상, 고층건물, 지하층 있는 건물 등

📘 다음 글 예고

다음은 NFTC104 – 스프링클러설비의 기술기준으로 이어집니다.
자동식 소화설비 중 가장 널리 쓰이는 설비의 설치 기준과 실무상 주의사항을 정리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