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3 🔌 비상전원 설치기준 완전정복 – 발전기 기준을 중심으로 | NFTC 103 해설 📍 들어가며화재 시 소방설비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면 어떨까요? 특히 스프링클러설비처럼 인명과 직결되는 소방시설은 정전 상황에서도 반드시 작동되어야 하며, 이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바로 **비상전원(발전기)**입니다.이번 글에서는 NFTC 103: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을 중심으로, 비상전원(발전기) 설치기준을 상세히 해설합니다. 실무에서 흔히 발생하는 설치 오류, 감리 시 체크포인트, 회로 분리 설계 등 설계자·시공자·감리자 모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사항을 다룹니다.🔍 NFTC 103 기준에서의 비상전원(발전기) 적용 대상비상전원 설치는 단순히 권장사항이 아닙니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는 반드시.. 2025. 4. 18. 🚨 NFTC 103 |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수원 산정 방식 포함) 1. 들어가며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는 핵심 설비다. 본 글에서는 NFTC 103 (2022.12.1 시행) 을 기준으로, 수원의 정확한 산정 방식, 설치 기준, 감리・설계 시 유의사항, 완화 및 예외 규정까지 포함한 현장 실무 중심의 해설을 제공한다.2. 스프링클러설비란?소화설비의 일종으로 폐쇄형(일반 건물)과 개방형(특수시설)으로 구분헤드에 내장된 감열체가 일정 온도 도달 시 파열 → 자동 방수초기 화재 확산을 억제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신뢰도 높은 설비3. 스프링클러 설비 구성구성 요소 설명스프링클러 헤드감열 파괴형 자동노즐 (폐쇄형/개방형)유수검지장치습식, 건식, 준비작동식 등 회로 별 설치가압송수장치전동펌프+예비펌프(내연기관) 구성제어장치감시제어반,.. 2025. 4. 18. NFTC 103 |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과 설계 시 유의사항 🚨 NFTC 103 |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과 설계 시 유의사항 1. 스프링클러설비란?스프링클러설비는 초기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소화수를 방출하여 확산을 억제하거나 진화하는 고정식 자동소화설비입니다. 설비 종류는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나뉘며, 일반적인 건축물에는 폐쇄형이 적용됩니다. NFTC 103은 이러한 설비의 설치기준을 기술적으로 규정합니다.2. 수원의 기준🔹 수원 산정 방식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또는 세대)에 기준헤드 수를 곱한 후, 1.6㎥ × 헤드 수 이상의 수원을 확보해야 합니다.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최대 방수구역의 헤드 수에 따라 산정. 30개 초과 시에는 수리계산 적용.🔹 옥상 수조 설치 예외일반적으로는 산출된 유효수량의 1/3 이상을 옥상에 설치해야 하.. 2025. 4. 18. 🔥 NFTC 102 |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기준과 예외・완화 규정 정리 1. 옥내소화전설비란?옥내소화전설비는 특정소방대상물 내부의 초기 화재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하는 고정형 소화설비입니다. 주로 사람이 직접 호스를 연결하여 방수하며, 스프링클러와는 달리 수동 작동이 전제됩니다. NFTC 102는 이 설비의 성능기준과 기술기준을 세분화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2. 수원의 설치 기준⛲ 유효수량 기준옥내소화전설비 수원의 기준은 **가장 많은 층의 설치 개수(최대 5개)**에 5.2㎥를 곱한 양 이상입니다.단, 50층 이상 건축물의 경우에는 7.8㎥ × 설치개수로 산정합니다화재안전기술기준NFTC.⬆️ 옥상 수조 설치 기준산출된 유효수량의 1/3 이상을 옥상에 설치해야 합니다.그러나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는 예외입니다:옥상 고가수조와 배관으로 상시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압송수장치를 통해.. 2025. 4. 17. 🚨 NFTC 102 해설 – 옥내소화전설비 완전정리 🔍 개요「화재안전기술기준 NFTC 102」는 옥내소화전설비에 관한 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을 다룬다. 이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초기진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고층 건축물과 지하층 등에서 필수적인 설비다.실무자, 설계자, 감리자뿐 아니라 소방설비기사 수험생에게도 반드시 이해하고 암기해야 할 핵심 기준이다.1️⃣ 적용 대상 및 법적 근거근거 법령: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제1호 다목설치 대상: 특정소방대상물 중 일정 규모 이상(연면적, 층수 등)의 건축물기술기준 명칭: NFTC 102 – 옥내소화전설비2️⃣ 주요 용어 정리용어정의정격토출량펌프가 기준 압력으로 배출할 수 있는 물의 양정격토출압력펌프가 기준 수량을 배출할 때의 압력충압펌프배관 내 압력 손실로 인한 주펌프 오작.. 2025. 4. 17. NFTC 101 해설 – 소화기구 설치 및 관리기준 완전정리 🔍 개요「화재안전기술기준 NFTC 101」은 ‘소화기구’의 설치 기준을 정의한 기술기준이다. 이 기준은 특정소방대상물에 소화기구를 설치함에 있어 적정한 수량, 위치, 성능, 구조, 유지관리 방법을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한다. 현장 설계자, 감리자, 그리고 소방설비기사 시험 수험생 모두에게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핵심 기준이다.1️⃣ 적용 대상 및 기준의 의의NFTC 101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제1호가목에 따른 소화기구의 기술기준으로, 실제 법적 설치 의무를 판단하는 기준점이 된다.적용 대상: 특정소방대상물 전반의의: 단순한 설치 권고 수준이 아닌, 법적 의무 기준으로 작동2️⃣ 용어 정의NFTC 101 기준에서는 다음 용어들을 명확히 정의하고 있다. 시험이나 실무에서 혼.. 2025. 4. 17. 이전 1 ···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