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9

차압 제연 정압 유지 전략과 압력조절댐퍼 적용 기준 차압 제연설비에서 정압 유지 전략은 매우 중요합니다. 피난 계단실이나 승강기실에 양압을 공급할 경우, 문 개폐와 공조 연동 등에 따라 내부 압력이 급격히 변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력조절댐퍼(PRD: Pressure Relief Damper)가 사용되며, 이를 포함한 정압 제어 방식은 실설계와 감리의 핵심 요소입니다. 정압 유지의 필요성 차압 유지 실패 → 문 개방 불가 또는 연기 역류 발생 풍량 과다 → 도어 잠김 현상 발생 (30Pa 이상) 풍량 부족 → 차압 미달 → 제연 실패 환기설비와의 간섭 또는 개방 빈도 높은 공간에서 압력 변화 빈발 압력조절댐퍼(PRD)의 개요 항목내용 구조스프링 또는 중.. 2025. 5. 28.
제연설비 유지관리 기준과 성능시험 항목 정리 제연설비는 설치 후에도 정기적인 점검과 성능시험이 이뤄져야만 그 기능을 신뢰할 수 있습니다. 실제 화재 시 제연댐퍼 미작동, 팬 고장, 제어반 통신 오류 등이 보고되고 있어,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NFTC 501, 소방시설법령, 소방청 지침에 따른 유지관리 기준, 점검 주기, 성능시험 항목, 보고서 작성 요령을 종합 정리합니다. 제연설비 점검 주기 및 근거 구분점검 주기법령/기준 작동기능 점검연 1회 이상소방시설법 시행규칙 제17조 정기종합 점검연 1회 이상 (대상시설)소방시설법 시행규칙 제18조 비상전원 점검월 1회 이상NFSC 103 연기배출량 측정3년 주기 권장NFTC 501 권고.. 2025. 5. 28.
제연댐퍼 작동 원리와 연동 회로 및 수동복귀 기준 해설 제연설비에서 제연댐퍼는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특정 공간으로의 확산을 차단하는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입니다. 하지만 감지기 회로와의 연동 오류, 피드백 신호 미수신, 수동복귀 설정 누락 등의 이유로 실제 화재 상황에서 작동하지 않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본 글에서는 제연댐퍼의 작동 구조와 회로 연동 방식, 수동복귀 설정 기준을 기술기준과 실무 중심으로 해설합니다. 제연댐퍼의 구조 및 작동 원리 댐퍼 구동부: 전동식 액추에이터 (DC 24V 또는 AC 220V) 개방 신호: 제어반에서 ON → 전류 공급 → 개방 피드백 신호: Limit Switch 내장 → 개방 확인 신호 수신 전원 차단 시 자동복귀형 or 유지형 선택 가능 감지기 회로 연동 방식 .. 2025. 5. 28.
제연설비 제어반과 수신기 연동, 시나리오 및 제어 로직 해설 제연설비의 성공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제어반과 수신기 간의 연동 설정이 핵심입니다. 연기감지기·열감지기·수동발신기 등의 작동 신호를 수신기가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연댐퍼 개방, 팬 작동, 제연구역 설정 등이 시나리오에 따라 자동 제어되어야 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제연설비의 연동 구성, 제어 로직, 시나리오 설정법을 사례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연동 구성 개요 감지기 → 수신기 → 제연 제어반 → 댐퍼/팬 수신기 1회선당 제연 제어 구역 1개 이상 매칭 수동 조작부: 제연 제어반 또는 통합 제연 패널에 위치 전원: 상시전원 + 비상전원 이중화 필요 (축전지/UPS) 제어반 구성 요소 구성 부품기능비고 제어모듈댐퍼,.. 2025. 5. 27.
차압 제연 풍량 계산법 및 덕트 보정 기준 차압 제연방식은 피난 계단실 및 승강기 전용실 등에 양압 공기를 공급하여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국내 대다수 고층 건물 및 지하 공간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설계에서 풍량 산정 미흡, 덕트 손실 미반영, 과도한 차압 등으로 인해 비작동 사례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본 글에서는 NFTC 501 기술기준에 기반하여 차압 제연의 풍량 계산 및 덕트 보정 방식까지 종합 해설합니다. 차압 기준 요약 구역기준 차압 (Pa)적용 위치 피난 계단실20Pa출입문 기준 비상용 승강기실40Pa도어 기준 예비실/전실10Pa공용 공간 접속부 풍량 산정 기본 공식 Q = k × A × √ΔP Q: 공급 풍량 (.. 2025. 5. 27.
소방 비상전지 용량 계산법 완전정리 (실무팁 포함) 1. 서론 화재 발생 시 주전원 차단을 대비해 작동되는 비상전원(축전지)는 수신기, 경보장치, 방송설비 등 주요 소방설비를 유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본 글에서는 현장에서 많이 혼동하는 비상전지 용량 산정 공식, 기준 시간, 부하 종류를 실무자 기준으로 명확히 정리하고, 감리자가 검토 시 놓치기 쉬운 부분까지 포함해 설명합니다. 2. 기준 용량 산정 공식 총 용량(Ah) = (정상부하 전류 × 시간) + (경보부하 전류 × 시간) 정상부하: 대기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류 (감지기, 수신기 대기전류 등) 경보부하: 화재 발생 시 작동되는 전류 (경보장치, 싸이렌 등) 2.1 시간 기준 (NFSC 기준) 정상.. 2025.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