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방 플랜지란 무엇인가?
플랜지(Flange)는 배관과 배관, 배관과 기기 사이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 접속부입니다. 나사 또는 볼트 체결을 통해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나 점검 시 유리하며, 특히 소방시설의 배관 설치에 있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2. 소방 플랜지의 주요 역할
- 배관 연결: 펌프, 밸브, 제어반 등과 배관을 견고하게 연결
- 누설 방지: 고압의 소화용수나 소화약제가 흐르는 관로에서 밀폐 유지
- 유지관리: 간편한 분리와 재조립을 통해 점검 및 교체 용이
- 내구성 확보: 고온, 고압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확보
3. 플랜지 설치 시 유의사항
- 기준 규격 준수(NFTC 102, 103 등 기술기준 참조)
- 체결 볼트의 균일한 토크 유지
- 가스켓 삽입 및 누설시험 필수
- 진동 최소화를 위한 적정 간격 확보
4. 관련 소방법령 요약
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주요 내용
- 제2조제1항: 소방시설의 정의에 배관과 연결부 포함
- 제9조: 설치 기준에 따라 설비 시공해야 함
나. 시행령 및 시행규칙 근거
- 시행령 별표 1: 소화설비 항목에 스프링클러, 옥내소화전 등 배관 연결 설비 명시
- 시행규칙 제3조: 건축 허가 시 소방시설 설치 도면에 플랜지 위치 반영 필수
5.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기준 적용
기준 번호 | 기준명 | 관련 내용 |
---|---|---|
NFTC 102 | 옥내소화전설비 | 배관 및 연결부 구성 기준에 플랜지 포함 |
NFTC 103 | 스프링클러설비 | 헤드, 제어밸브와 연결되는 배관에 플랜지 적용 |
NFTC 502 | 연결송수관설비 | 내압기준 충족을 위한 연결부 점검 필수 |
6. 감리자가 꼭 체크해야 할 사항
- 설계도서와 도면 일치 여부 확인: 플랜지 위치, 규격 등 설계 기준과 시공 현장 비교
- 시험결과 확인: 압력시험, 수밀시험 등 적정 시험 시행 여부 확인
- 부적정 시공 시 조치: 체결 불량, 가스켓 누락 시 보완 지시 및 재시공 유도
- 시공사와의 협의: 진동 발생 구간이나 변형 우려 구간의 보강 계획 여부 확인
감리의 품질이 곧 소방안전이다
소방 플랜지는 단순한 연결부 이상의 기능을 하며, 설비 전체의 신뢰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감리자는 설계기준, 기술기준, 법령 모두를 정확히 숙지하고 시공현장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플랜지 체결 상태, 가스켓 상태, 압력시험 여부 등은 감리보고서에 반드시 기록되어야 하며, 부실시공은 화재 대응능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전도움 감리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 기준과 배관 내구성·압력 기준 종합 (0) | 2025.06.01 |
---|---|
수신기 작동 원리와 연동 설정 기준 (0) | 2025.05.26 |
연기감지기 vs 열감지기 선택 기준과 병행 설치 시 유의사항 (0) | 2025.05.26 |
감지기 설치 간격과 환경별 최적 위치 기준 (0) | 2025.05.25 |
내화전선 예외 허용 규정 요약 및 소방배선 관련 감리 지적 사례 모음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