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FTC 103 |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과 설계 시 유의사항
1. 스프링클러설비란?
스프링클러설비는 초기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소화수를 방출하여 확산을 억제하거나 진화하는 고정식 자동소화설비입니다. 설비 종류는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나뉘며, 일반적인 건축물에는 폐쇄형이 적용됩니다. NFTC 103은 이러한 설비의 설치기준을 기술적으로 규정합니다.
2. 수원의 기준
🔹 수원 산정 방식
-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또는 세대)에 기준헤드 수를 곱한 후, 1.6㎥ × 헤드 수 이상의 수원을 확보해야 합니다.
-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 최대 방수구역의 헤드 수에 따라 산정. 30개 초과 시에는 수리계산 적용.
🔹 옥상 수조 설치 예외
일반적으로는 산출된 유효수량의 1/3 이상을 옥상에 설치해야 하나, 다음 조건이면 예외입니다:
-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
- 고가수조를 통한 가압송수 방식 적용 시
3. 가압송수장치 설치 기준
⚙ 펌프 구성
- 주펌프는 전동기 구동 필수
- 예비펌프는 내연기관식 또는 비상전원 연결 필요
- 연료량은 40분 이상 운전분 (50층 이상은 60분)
📊 성능 기준
- 펌프는 정격토출량의 150% 운전 시 정격압력의 65% 이상 유지
- 체절운전 시 140%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
💧 기타 필수 사항
- 급수배관은 전용
- 순환배관 설치로 수온 상승 방지
- 50층 이상 건축물은 수직 주배관 2계통 이상 필수
4. 주요 구성 요소별 기준 요약
항목 설치 기준
스프링클러헤드 | 표준 간격 설치, 드롭식 또는 상향식 구성 가능 |
유수검지장치 | 층별 설치, 습식/건식/준비작동식 구분 적용 |
음향장치 | 주 제어반과 연동하여 작동, 90dB 이상 권장 |
감시제어반 | 정전 시 자동 전환되는 비상전원 필수 |
배관재 | 1.2MPa 이하 → 탄소강관, 구리관 등 사용 가능1.2MPa 초과 → 고압용 배관 필수 |
5. 예외 및 완화 규정
✅ 설치기준의 일부 면제
기존 건축물의 증축·개축·대수선 등으로 인해 기준 적용이 어려운 경우:
-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승인 하에 기준 일부 면제 가능
- 단, 기능 및 사용에 지장이 없을 것
✅ 겸용 허용
- 수원과 가압송수장치를 옥내소화전 등과 겸용 가능
- 단, 저수량은 각 설비 필요량의 합 이상 확보해야 하며, 각 배관 성능에 영향 없을 것
6. 설계자・감리자가 주의할 점
- 수리계산 기반 설계 시는 수원의 산정 방식이 달라집니다.
- 고층 건축물은 배관계통 이중화 및 양방향 급수 설계가 필수입니다.
- 겸용 설비는 반드시 성능 인증된 구성요소를 사용할 것.
- 실제 설계 시에는 NFTC 103과 NFPC 103을 반드시 병행 참조해야 합니다.
'NFTC 기술기준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FTC 104 | 물분무등소화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0) | 2025.04.18 |
---|---|
🚨 NFTC 103 |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 완벽 해설 (수원 산정 방식 포함) (0) | 2025.04.18 |
🔥 NFTC 102 | 옥내소화전설비 설치기준과 예외・완화 규정 정리 (0) | 2025.04.17 |
🚨 NFTC 102 해설 – 옥내소화전설비 완전정리 (0) | 2025.04.17 |
NFTC 101 해설 – 소화기구 설치 및 관리기준 완전정리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