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감리10 방염, 제대로 알고 있나요? – 감리자와 설계자를 위한 방염 기준과 시공 핵심 체크 현장에서 감리 업무를 하다 보면, 자칫 놓치기 쉬운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방염이에요. 스프링클러나 감지기처럼 눈에 딱 보이는 설비들은 비교적 쉽게 챙기지만, 방염은 벽지나 천장재처럼 건물 안쪽에 숨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무심코 지나치기 쉽거든요. 그런데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이 제일 먼저 타고 오르는 건 벽과 천장이잖아요. 그래서 방염은 생각보다 훨씬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방염이 뭔지부터, 감리자가 현장에서 꼭 챙겨야 할 체크포인트까지,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봤어요.방염이 뭔가요?간단히 말하면, 방염은 자재에 불이 붙지 않게 하거나 불이 붙더라도 쉽게 번지지 않게 억제해주는 성능이에요. 비슷한 용어로 불연, 준불연이 있는데, 이 둘은 자재 자체가 잘 타는지 안 타는지를 따지는 개념이고요.. 2025. 7. 27. 소방 플랜지의 역할과 감리 포인트 1. 소방 플랜지란 무엇인가?플랜지(Flange)는 배관과 배관, 배관과 기기 사이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 접속부입니다. 나사 또는 볼트 체결을 통해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나 점검 시 유리하며, 특히 소방시설의 배관 설치에 있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2. 소방 플랜지의 주요 역할 배관 연결: 펌프, 밸브, 제어반 등과 배관을 견고하게 연결 누설 방지: 고압의 소화용수나 소화약제가 흐르는 관로에서 밀폐 유지 유지관리: 간편한 분리와 재조립을 통해 점검 및 교체 용이 내구성 확보: 고온, 고압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확보3. 플랜지 설치 시 유의사항 기준 규격 준수(NFTC 102, 103 등 기술기준 참조) 체결 볼트의 균일한 토크 유지 가스켓 삽입 및 누설시.. 2025. 7. 16. 🔥 내화전선 완벽정리 – 정의, 적용대상, 시공기준까지 한눈에! 1. 내화전선이 중요한 이유는?화재 시 소방시설은 전력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일반 전선은 고온에 노출되면 절연 파괴, 전류 차단, 설비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어, 소방시설이 무용지물이 되기 쉽습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정 전선에 고온 환경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내화 성능을 요구하며, 이를 ‘내화전선(Fire-resistant cable)’이라 부릅니다.📌 한 줄 요약: 화재 시 작동해야 할 소방설비에는 반드시 내화전선 사용!2. 내화전선의 기준과 적용 범위2-1. 내화전선의 정의항목 내용정의화재 발생 시 일정 시간(예: 60분 또는 90분) 이상 기능 유지가 가능한 전선시험기준KS C IEC 60331 또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인증 기준구분내열전선(heat-r.. 2025. 4. 28. 🏙 고층 건축물 소방시설 특례 총정리 – 피난, 스프링클러, 연기제어 실무해설 1. 왜 고층 건축물은 특례가 필요한가?고층 건축물은 화재 발생 시 연기 확산, 피난 시간 지연, 소방 접근성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해 일반 건축물보다 강화된 소방시설이 요구됩니다. 그러나 구조·공간의 특수성으로 인해 일반적인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이런 현실을 반영해 「건축법」,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화재안전기준」 등에서는 고층 건축물에 대한 특례 조항과 설치 기준의 완화 조건을 두고 있습니다.2. 고층 건축물의 주요 특례 항목별 해설2-1. 적용 대상: 고층건축물의 정의기준 내용법령 정의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9호높이 기준50m 초과 건축물 또는 16층 이상 건축물소방법 기준특정소방대상물 중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 건축물🏢 예시: 오피스텔, 주상복합.. 2025. 4. 28. 🧪 자동소화장치 성능인증 완전정복 – NFTC와 NFPC 기준으로 읽는 제품검사 실무 1. 왜 성능인증이 중요한가?자동소화장치는 **설치만큼 중요한 것이 ‘성능’**입니다. 작동 실패는 곧 생명과 재산 손실로 이어지기에, 소방청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7조 및 제40조에 따라 형식승인과 성능인증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제품의 품질을 검증하는 최종 관문인 성능인증, 그리고 시공현장 적용을 위한 전제조건인 제품검사. 이 두 절차는 **NFPC 기준(성능기준)**과 **NFTC 기준(설치 및 시험기준)**에 기반해 진행되며, 그 연계성과 실무적 이해가 매우 중요합니다.2. 자동소화장치 성능인증 절차 & 기준 해설2-1. 성능인증과 형식승인의 차이항목 형식승인 성능인증주관소방청장 (소방산업과)소방청장 (소방분석제도과)기준기술기준(NFTC)성능기준(NFPC)목적제품별 설계 .. 2025. 4. 27. 🚨 공기 단축, 감리는 야근… 추가근무비는 누가 책임질까? “공기가 단축돼 주말, 야간 근무까지 했는데… 추가 감리비를 못 받는다고요?”현장 소방감리자라면 누구나 겪는 이 현실, 법과 계약에서 해답을 찾아봅니다.1. 감리자의 ‘무임금 초과근무’, 정당한가?소방시설공사 감리자는 설계도서와 법령에 따라 시공 품질과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기술자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공기 단축이라는 이유로 추가 근무를 요구받고도, 계약 외 용역비용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감리 추가근무비 지급 책임자, 감리자의 대응 방법, 그리고 관련 법령과 판례, 계약 기준을 통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합니다.2. 법과 계약에서 찾는 추가근무비 정당성⚖️ 2.1 감리업무의 법적 근거「소방시설공사업법」 제2조 제1항 다목:"소방공사감리업이란 발주자의 권한을 대행하여 소방시설공.. 2025. 4.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