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전도움 감리노트

이산화탄소계 설비, 진짜 위험한 거 아세요?

by sofire 2025. 7. 28.

CO₂계 소화설비 감리 포인트

소화가스설비 중에서도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게 바로 이산화탄소계 소화설비예요. 일반적인 가스 소화설비가 전산실이나 청정구역 같은 무인 공간에 설치된다면, CO₂계는 사람이 드나드는 구역에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질식 위험까지 감안해야 해요. 실제로 이산화탄소 방출 사고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례도 적지 않죠.

CO₂ 설비, 왜 더 위험할까요?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무겁고, 산소를 밀어내는 성질이 있어서 불을 끄는 동시에 사람의 숨도 막을 수 있어요. 그래서 피난설비, 경보설비, 통기설비, 기동설비까지 모두 사람 중심으로 설계되고 감리되어야 합니다. 특히, 방출 후 환기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수 시간 동안 인체에 유해한 농도가 유지되기도 해요.

관련 기준과 법적 근거

CO₂계 설비는 NFSC 108에서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요. 또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별표1에서는 이산화탄소계 설비를 특수소방시설로 분류하며, 별도의 설계기준, 감리기준을 적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공기배출설비 설치기준은 국토안전관리원 고시에서 별도로 다루고 있죠.

감리자가 꼭 확인해야 할 핵심 포인트

  • 피난경보시간 확보 여부: 방출 전 경보는 반드시 30초 이상 울려야 해요. 시각경보와 음성경보 모두 필수예요.
  • 기동방식 확인: 자동기동은 감지기 2개 이상 동시 감지 시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어야 하고, 수동기동은 문 외부에서 접근 가능해야 합니다.
  • 방출구역의 기밀성: 약제가 유실되지 않도록 방호구역 벽체와 천장 틈새가 밀폐되어 있어야 해요. 여기에는 도어팬 테스트 같은 기밀성 시험이 필요할 수 있어요.
  • 환기설비 설치: 방출 후 일정 시간 안에 CO₂ 농도를 희석시킬 수 있는 환기설비가 반드시 있어야 해요. 자동 또는 반자동 제어가 가능해야 하고요.
  • 출입문 인터록: 방출 중에 사람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출입문과 연동된 제어장치가 필요해요.
  • 방출 전 인터록 기능: 연동설비(AHU, ACB, 댐퍼 등)가 방출 전에 자동 차단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방출 후 잔류 농도 측정: 감리자는 방출시험 후 CO₂ 농도를 측정해서 인체 안전기준 이내인지 확인해야 해요.

기밀성 테스트, 꼭 해야 할까요?

이산화탄소계 설비에서 방호구역의 기밀성 확보는 화재 진압 성능인체 안전 확보를 동시에 위한 중요한 절차예요. 아무리 약제를 설계농도대로 방출하더라도, 벽 틈이나 천장 배관구에서 새어 나가면 정작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거나, 예상보다 빨리 약제가 희석되어버릴 수 있죠.

그래서 도어팬 테스트(Door Fan Test)가 필요합니다. 이 테스트는 문에 설치한 팬으로 실내 기압 차이를 만들어, 약제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holding time)을 계산하는 방식이에요. NFPA 기준에 따르면 약제는 최소 10분 이상 방호구역 내에 유지되어야 하며, 국내 NFSC 기준도 이를 참고하고 있습니다.

만약 테스트 결과가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틈새 보강, 도어씰 추가, 배관 통기구 보완 같은 조치가 필요합니다. 감리자 입장에서는 이 기밀성 시험 결과를 감리보고서에 반드시 첨부하고, 시공사가 보완 조치를 실제로 이행했는지를 확인해야 해요.

현장에서 자주 나오는 문제 사례

  • 경보 없이 방출돼 시험 중 작업자 질식 사고 발생
  • 출입문 연동 미설치로 방출 중 관계자 진입
  • 이탈시간 확보 경보장치(음성 또는 시각경보) 누락
  • 환기설비 미작동 또는 수동으로만 제어 가능
  • 기밀성 시험 생략 또는 결과 미기록으로 인한 책임 분쟁

감리 보고서에 꼭 남겨야 할 내용

CO₂계 설비는 방출시험뿐 아니라 방호구역 설정과 인체안전 확보 여부가 보고서에 명확히 드러나야 합니다. 다음 사항은 누락 없이 포함시켜야 해요.

  • 기동방식 도식화 및 경보 흐름도
  • 연동설비 작동사진 및 제어흐름 설명
  • 방출시험 전•후 실측값 (기압, 농도, 온도 등)
  • 피난시간 경보장치 시연 영상 또는 작동사진
  • 환기설비 작동확인서 또는 제조사 매뉴얼 사본
  • 기밀성 시험 결과서 및 보완 시공 내역

CO₂계 설비는 정말 위험할 수 있어요. 약제가 눈에 보이지 않고 소리도 없이 퍼지기 때문에, 현장에서 방출되는 순간을 제대로 통제하지 않으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감리자는 기준 충족 여부 + 인체안전 확보 여부 + 실제 작동 흐름까지 하나하나 꼼꼼히 챙겨야 해요.

오늘도 꼼꼼한 감리를 위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참고자료

  • NFSC 108: 이산화탄소계 소화설비의 설계 및 시공 기준
  •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별표1: 특수소방시설 분류
  • 국가화재안전기준 해설서 2024년판
  • 공기배출설비 설치기준(국토안전관리원 고시)
  • NFPA 12, 2001 기밀성 유지 기준 및 도어팬 테스트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