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9

이산화탄소계 설비, 진짜 위험한 거 아세요? CO₂계 소화설비 감리 포인트소화가스설비 중에서도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게 바로 이산화탄소계 소화설비예요. 일반적인 가스 소화설비가 전산실이나 청정구역 같은 무인 공간에 설치된다면, CO₂계는 사람이 드나드는 구역에 설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질식 위험까지 감안해야 해요. 실제로 이산화탄소 방출 사고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례도 적지 않죠.CO₂ 설비, 왜 더 위험할까요?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무겁고, 산소를 밀어내는 성질이 있어서 불을 끄는 동시에 사람의 숨도 막을 수 있어요. 그래서 피난설비, 경보설비, 통기설비, 기동설비까지 모두 사람 중심으로 설계되고 감리되어야 합니다. 특히, 방출 후 환기설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수 시간 동안 인체에 유해한 농도가 유지되기도 해요.관련 기준과 법적 근거CO₂계 .. 2025. 7. 28.
소화가스설비,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소화가스설비,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감리자가 놓치기 쉬운 핵심 기준과 설계·시공 체크포인트소화가스설비는 대부분의 일반인에게는 낯설지만, 감리자나 설계자 입장에서는 절대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설비 중 하나입니다. 전산실, 변전실, 통신실, 청정설비실 등 일반 소방설비로 화재를 진압할 수 없는 구역에 적용되는 이 설비는, 화재를 "기계적으로" 진압할 수 있어야 한다는 특수성을 갖고 있어요. 그렇다 보니 기준도 복잡하고, 감리 시 놓치기 쉬운 포인트가 여럿 숨어 있죠.소화가스설비, 어디에 적용될까요?주로 전산실, 통신실, 변전실, 데이터센터, 정밀기계 생산실, 항공기격납고, 군사시설, 해양플랜트 등 고가 장비나 인명 피해 위험이 높은 구역에 설치됩니다. 이산화탄소계, 할로겐화합물계(HFC-227ea, F.. 2025. 7. 28.
방염, 제대로 알고 있나요? – 감리자와 설계자를 위한 방염 기준과 시공 핵심 체크 현장에서 감리 업무를 하다 보면, 자칫 놓치기 쉬운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방염이에요. 스프링클러나 감지기처럼 눈에 딱 보이는 설비들은 비교적 쉽게 챙기지만, 방염은 벽지나 천장재처럼 건물 안쪽에 숨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무심코 지나치기 쉽거든요. 그런데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이 제일 먼저 타고 오르는 건 벽과 천장이잖아요. 그래서 방염은 생각보다 훨씬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방염이 뭔지부터, 감리자가 현장에서 꼭 챙겨야 할 체크포인트까지,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봤어요.방염이 뭔가요?간단히 말하면, 방염은 자재에 불이 붙지 않게 하거나 불이 붙더라도 쉽게 번지지 않게 억제해주는 성능이에요. 비슷한 용어로 불연, 준불연이 있는데, 이 둘은 자재 자체가 잘 타는지 안 타는지를 따지는 개념이고요.. 2025. 7. 27.
소방공사 준공 시 꼭 제출해야 할 서류 소방공사 감리를 하다 보면 가장 마지막이자 중요한 단계인 '준공검사'에서 적잖은 혼란을 겪게 됩니다.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어떤 서류를 누가 준비해서 언제 제출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죠. 본 글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감리를 맡고 있는 입장에서 소방공사 준공 시 반드시 제출되어야 할 서류 목록을 법령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준공검사, 단순한 절차가 아니다준공검사는 시공이 끝났다는 것을 단순히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계획된 대로 설치가 되었는지, 기술기준에 부합하는지, 관련 인증과 승인 절차가 적법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이때 제출되는 서류는 행정기관, 감리자, 발주자, 시공자 모두에게 책임과 법적 효력을 가지는 문서가 됩니다.관련 법령 기준 한눈에 보기소방시설공사.. 2025. 7. 26.
2025 성능위주설계 가이드라인 개정 – 피난·연기·방재실 평가 지난 2025년 5월 1일, 소방청은 성능위주설계 평가 운영 표준 가이드라인을 개정하며 피난 시뮬레이션과 연기 확산, 종합방재실에 대한 평가 기준을 대폭 손질했습니다. 언뜻 보면 단순한 기술적 변화 같지만, 실제 설계와 감리 현장에서는 판이하게 다른 상황이 펼쳐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변화의 핵심을 짚고, 실무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포인트를 정리해보았습니다.성능위주설계, 다시 주목받는 이유고층건축물의 증가와 복합시설의 다양화, 그리고 기존 기준의 한계가 겹치면서 이제는 단순한 정량 기준만으로 화재안전성을 설명할 수 없는 시대가 됐습니다. 'NFTC로는 부족하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고, 실제로 시뮬레이션 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도서가 '부적정' 판정을 받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목격되고 있.. 2025. 7. 25.
소방 플랜지의 역할과 감리 포인트 1. 소방 플랜지란 무엇인가?플랜지(Flange)는 배관과 배관, 배관과 기기 사이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적 접속부입니다. 나사 또는 볼트 체결을 통해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나 점검 시 유리하며, 특히 소방시설의 배관 설치에 있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2. 소방 플랜지의 주요 역할 배관 연결: 펌프, 밸브, 제어반 등과 배관을 견고하게 연결 누설 방지: 고압의 소화용수나 소화약제가 흐르는 관로에서 밀폐 유지 유지관리: 간편한 분리와 재조립을 통해 점검 및 교체 용이 내구성 확보: 고온, 고압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확보3. 플랜지 설치 시 유의사항 기준 규격 준수(NFTC 102, 103 등 기술기준 참조) 체결 볼트의 균일한 토크 유지 가스켓 삽입 및 누설시.. 2025. 7. 16.